[베이비뉴스] 특별활동으론 대체 어려워… 부모들, 사교육 필요성 더 느낀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포천센터 작성일25-04-07 09:22 조회4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공교육 특별활동 선호도↓... "질적 차이 때문”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부모들은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는 크게 증가하는 등 사교육을 현실적인 필요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졌다. ⓒ베이비뉴스
부모들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공교육을 선호하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는 크게 증가하는 등 사교육을 현실적인 필요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졌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만2세 아동 부모의 경우 2016년에는 58.29%가 공교육의 특별활동 활성화를 선호했지만, 2024년에는 이 비율이 41.80%로 감소했다.
반면,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교육 요구 흡수에 대한 선호는 24.02%에서 45.08%로 크게 증가했고 사교육 축소를 선호하는 비율은 2016년에 10.99%였지만, 2024년에는 5.80%로 줄어들었다.
만5세 아동의 부모의 경우에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2016년에는 56.96%가 공교육의 특별활동 활성화를 선호했으나, 2024년에는 그 비율이 35.80%로 줄어들었고, 대신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교육 요구 흡수에 대한 선호는 26.99%에서 53.20%로 크게 증가했다. 사교육 축소를 원하는 비율은 2016년에 8.95%였으나, 2024년에는 4.20%로 감소했다.
종합적으로 공교육의 특별활동 활성화에 대한 선호는 2016년에서 2024년으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교육 요구 흡수에 대한 선호는 두 연령대 모두에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사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느끼는 방향으로 변화했을 가능성이 크며 사교육에 대한 수요가 불가피한 현실로 자리 잡으면서, 공공 인프라를 활용해 부담을 덜고 싶어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부모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성화 프로그램이나 특별활동만으로는 사교육을 대체할 수 없다는 인식이 늘었다. 2016년과 2024년을 비교했을 때, 특성화 프로그램이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2016년에 비해 2024년 감소한 것이다.
2세 아동의 경우 2016년에는 69.71%의 부모가 '대체 가능하다'고 응답했으나, 2024년에는 57.07%로 감소했고, 5세 아동의 경우에도 2016 54.43%에서 2024년 40.63%로 감소해, 전반적으로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가 줄었다.
그 이유를 연령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만2세의 경우, 2016년에는 ‘부모선택권이 적음’이 41.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강사 대 아동 비율이 높음’은 24.27%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피드백 어려움’은 21.36%로 나타났다.
2024년에는 ‘강사 대 아동 비율이 높음’이 30.00%로 가장 많이 꼽혔으며, ‘부모 선택권 적음’은 27.65%로 감소했다. ‘사교육보다 질 낮음’도 18.82%로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만5세의 경우, 2016년에는 ‘부모 선택권 적음’이 38.46%로 가장 높았고, ‘강사 대 아동 비율이 높음’도 37.65%로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피드백 어려움’은 13.36%로 비교적 낮게 평가됐다. 2024년에는 ‘강사 대 아동 비율이 높음’이 37.97%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사교육보다 질 낮음’이 16.54%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부모 선택권 적음’은 24.06%로 감소했다.
부모들은 과거보다 더 ‘질적인 부분’에 집중하고 있었다. 특히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성화 프로그램이나 특별활동을 사교육과 비교했을 때 강사 대 아동 비율, 교육의 세밀함, 개별 피드백 제공 여부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사교육을 새롭게 시작하거나 지속할 의향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79.00%가 새로 시작하거나 지속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자녀 연령과 가구소득 집단별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자녀 연령이 올라갈수록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을 새로 시작하거나 지속할 의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저작권자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베이비뉴스(https://www.ibabynews.com)